금시세 달러가 강하면 금값은 내려간다? 금테크 방법은?
최근 몇년전부터 재테크로 많은 관심을 받아온 금. 홈쇼핑에서도 금괴를 팔기도 했었는데요. 얼마전 방송에서 금값과 달러의 관계에 대해서 듣고 궁금해서 공부해 봤습니다. 재테크로 관심있는 금. 금시세는 달러의 가치가 오르면 내려가고 달러의 가치가 내려가면 오른다는데 왜 그런것일까요?
금과 달러의 관계를 알려면 금본위제도를 알면 쉽다?
금과 달러 무슨관계가 있을까? 이 둘의 관계를 알려면 금본위제도에 대해서 알게되면 이해가 쉽습니다.
금본위제도는 화폐의 가치를 금의 가치로 나타내는것 입니다.
중앙은행이 화폐 제도의 기초가 되는 화폐를 금화로 발행하여 시장에 실제로 유통시키는 것을 금화본위제라고 하는데 운반이 불편하고 도난의 위험이 있어서 금화를 시장에 유통시킬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나온 방안이 금지금본위제 입니다. 금지금본위제는 중앙은행이 금화 대신 금화의 가치와 같은 가치의 지폐와 보조화폐를 발행하는 것입니다. 은행권을 금으로 교환하는 것을 금태환이라 하고 이때의 은행권을 태환화폐라고 합니다. (출처 : 위키백과)
.
금값과 달러의 관계를 쉽게 설명해준 동영상이 있어서 첨부합니다.
금테크 방법 골드바? 금통장? 금펀드? KRX금시장?
한동안 금이 재테크의 수단으로 관심을 받으면서 금을 사는 방법 뿐만 아니라 금관련 다양한 상품들이 생겼는데 금통장과 금펀드, KRX금시장이 있습니다. 각각의 금테크 방법에 대해서 간략히 장단점을 알아보겠습니다.
1. 금 실물 거래시 장단점.
-은행에서 구매할 수 있다.
-금 구매후 가격변동이 즉시 반영된다.
-빠르게 현금으로 바꿀수 있다.
-금을 되팔때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금 실물을 구매할때 부가세 10%, 수수료 대략 5% 정도를 내야한다. (매도할때 20% 이상의 차익이 남지않으면 큰 이익은 어렵다)
-도난, 분실의 위험이 있다.
2. 금 통장 가입시 장단점
-소액투자 가능
-도난, 분실위험 없음
-수수료와 배당소득세가 있음.
-예금자보호를 받지 못함.
3. 금펀드 가입시 장단점
-간편한 금테크 방법이다.
-수수료가 저렴하다.
-금값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할수도 있다.
-투자차익에 세금이 붙는다.
4. KRX금시장 장단점
-품질이 인증된 고순도 금의 유통
-안전한 거래와 보관
-부가가치세 면제 혜택
-실물 금을 인출할때 부가세 10% 부과됨.
-낮은 수수료와 세제혜택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쿨까당 유효기간 지난 각종 상품권 90% 환불 가능하다? (0) | 2017.07.11 |
---|---|
국회에서 6년째 통과 안된 금융소비자보호법이란? (0) | 2017.07.10 |
내일키움통장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누가 신청할수 있고 혜택은? (0) | 2017.02.06 |
브렉시트 때문에 생긴 영국 경제에 대한 궁금함 (0) | 2016.06.29 |
브렉시트 영향도 궁금하지만 왜 브렉시트일까? 브렉시트 뜻은? (0) | 2016.06.28 |